서경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소

HOME 바로가기

학술자료

[디자인·미술 지식재산] 디자인 지식재산 교육 콘텐츠 요구분석 - 온라인 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2024.12)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17회

본문

디자인 지식재산 교육 콘텐츠 요구분석 - 온라인 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Needs Analysis for Desig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 Focusing on Online Learners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2024, Vol.42 No.5, pp.397 - 413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지식재산 교육의 인식을 확인하고 교육 요구도를 도출하여 운영 중인 디자인 지식재산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과 발전 방향을 모 색하는 것이다. 연구는 설문조사로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엑셀을 통해 기술통계 분석, 대응 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로커스 포커스 모델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지식재 산 교육을 수료한 수강생들은 교육 방식에서 오프라인 보다는 온라인 교육을, 정규교육보다는 특강형 교육을 선호한 반면, 교육 시간에 대해서는 학기당 평균 12시 간 정도의 적지 않은 시간투자가 필요한 교육으로 인식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전체 수강생들을 대상으 로 지식재산 교육의 세부 교육 콘텐츠별 요구도를 확인 한 결과, 최상위 교육 요구 콘텐츠로는 ‘디자인 권리 주 장과 보호를 위한 등록’이, 차상위 교육 요구 콘텐츠로 는 ‘디자인권과 디자인 특유제도’와 ‘디자인 분쟁 사례 정보’가 도출되었다. 셋째, 디자인 지식재산 교육 수강 생의 유사 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세부 교육 콘텐츠별 요구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사 교육 수강 경험이 있 는 수강생 집단에서는 최우선 교육 요구 콘텐츠로 '디 자인 권리 주장과 보호를 위한 등록'이, 차순위로 '디자인권과 디자인 특유 제도'가 도출된 반면, 유사 교육 경험이 없는 신규 수강생 집단에서는 최우선 교육 요구 콘텐츠로 '상표에 대한 이해'가, 차순위로 '저작권에 대 한 이해'가 도출되어, 이전의 유사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각 집단이 우선적으로 개선 및 보강을 필요로 하 는 교육 콘텐츠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지식재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수강 생들의 만족도는 모든 수강생들이 운영 중인 디자인 지 식재산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식에 대해 평균 4점 이상의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디자인 #지식재산교육 #교육요구 #융합교육 #저작권



▼ 논문 다운로드 (첨부파일)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op